JOIN

Since 2017, We have prepared for the change of the world.

우리는 2017년부터 코로나19와
천연두를 예견하고 대비하였습니다.

국군 병력 45만명으로 줄어…사단급 이상 17개 부대 사라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6회 작성일 25-08-10 10:34

본문

육군 훈련 [연합뉴스 자료사진]


군 병력이 45만명대까지 내려앉으면서 사단급 이상 부대 17곳이 해체되거나 통합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와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 군 병력은 2019년 56만명에서 2025년 7월 45만명으로 6년 만에 11만명이 줄었다.


정전 상황에서 필요한 최소 병력 규모로 언급되는 50만명이 2년 전에 이미 붕괴한 데 이어 그보다도 5만명이나 모자라는 상황이 됐다.


특히 육군 병사는 6년 새 30만명에서 20만명으로 10만명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역 판정 기준 완화로 현역 판정률이 69.8%에서 86.7%로 16.9%포인트나 상승했지만 이마저도 저출산에 따른 병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간부 선발률(선발 계획 대비 선발 인원)도 크게 하락했다.


2019년 약 90% 수준이던 간부 선발률은 2024년에는 50%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로 인해 장기복무 인원 확보는 물론 부대 운영 전반에 차질이 우려된다.


병력 감소에 따른 직접적 여파로 사단급 이상 부대도 대폭 줄었다.


병력 감소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수립된 국방개혁에 따라 2006년 59곳이던 사단급 이상 부대는 현재 42곳으로 17개 부대가 해체되거나 통합됐다.


강원도와 경기 북부 지역 전투 부대(보병·기계화)와 동원 부대가 주로 해체 대상이 됐다.


오는 11월에도 경기 동두천에 주둔 중인 육군 제28보병사단이 해체될 예정이다.


해체된 부대의 임무는 인근 부대들이 분담하게 되면서 전력 운용에도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


한 부대가 기존보다 넓은 방어 구역을 책임지게 되면서 작전 효율성과 대응 능력 저하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병력 감소와 부대 해체는 우수 인재 확보의 어려움, 장비 운용 능력 저하, 작전 수행 역량 약화 등 다방면에 걸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국방부는 병력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저출산과 병사 처우 개선에 따른 간부 선호도 하락 등을 꼽고 있다.


일정 규모의 상비 병력을 유지하기 위해 보충역과 상근예비역 감축, 여군 인력 확대, 단기복무장려금 지급 확대 등 간부 지원 유인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비전투 분야 민간 인력 확대, 장교와 부사관 장기 활용 등도 검토할 방침이다.

회원가입안내

이 사이트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더 자세한 세부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회원 가입을 적극 추천합니다.
회원에 가입하신 모든 분들에게는 변해버린 세상의 구체적인 대비책이 공유될 것입니다.
우리들이 이와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어떠한 정치적, 개인적 목적을 위함이 아님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조금만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생각을 가질 수만 있다면 우리들 모두 변해버린 세상을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단, 조금은 서둘러야 하는 시간대임을 반드시 기억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