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IN

Since 2017, We have prepared for the change of the world.

우리는 2017년부터 코로나19와
천연두를 예견하고 대비하였습니다.

독일, 기껏 없앤 방공호 부활…러시아 공습 우려에 대비 착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2회 작성일 25-07-23 08:25

본문

20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군에 입대한 신병들이 행사 중 선서를 하기 위해 모여 있는 모습. [사진 출처 = EPA, 연합뉴스]


독일이 냉전 이후 대거 폐쇄했던 지하 벙커를 복원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러시아의 공습 가능성에 대비하겠다는 취지다.


20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자극받은 독일은 오는 2029년까지 국방 예산을 약 2배로 증액, 전쟁에 대비하는 국가가 되겠다고 선언했다.


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향후 수년 내 러시아가 서유럽을 공격할 역량을 갖출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크라이나처럼 도시가 매일 폭격당하는 상황이 벌어지면 민간인 수백만명이 무방비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독일 당국이 벙커 부활을 비롯한 대책 마련에 나서는 건 이같은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유사시에 대비해 탱크나 무인기(드론)와 같은 무기만 확보하는 게 아니라 민간인 보호 대책도 확실하게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WSJ에 따르면 독일 당국은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대피소로 개조할 수 있는 공공 공간 목록을 작성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더욱 튼튼한 보호 시설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또 시범 사업으로 우선 2026년 말까지 100만명이 대피할 수 있는 벙커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후 대피소를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른바 ‘벙커 교회’로 불리는 독일 뒤셀도르프의 성 사크라멘트 교회.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고층 방공호를 개조한 건물이다. [사진 출처 = EPA, 연합뉴스]


제2차 세계대전 후 독일 도시 곳곳에 남은 회색빛 고층 방공호는 아직 건재하며, 일부는 미술관, 호텔, 고급 주택 등으로 탈바꿈했다. 그러나 대형 벙커 대부분은 복원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하고, 대규모 인파가 밀집할 경우 오히려 공격 목표가 될 가능성도 있다.


독일 당국은 이같은 점을 고려, 지하 주차장과 지하철역, 건물 지하 등 기존 구조물의 내구성을 강화해 대피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개인 지하실을 벙커로 개조하려는 독일 국민도 많아지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냉전 시기 운영되던 2000여개의 벙커와 대피소 중 현재 남은 시설은 58개뿐이다. 이론상 이들 시설이 수용하는 인원은 독일 인구의 0.5%인 48만명에 그친다.


독일 정부 대변인은 WSJ에 “베를린에 있는 4개의 벙커를 포함해 남아 있는 대피소들은 기능을 상실했으며, 운영도 불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WSJ는 “불과 20년 전에도 독일은 자국 영토에 군사적 공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극히 낮다고 판단, 마지막 남은 공습 대비 벙커들을 폐쇄했다”며 “그러나 오늘날 이 결정을 되돌리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회원가입안내

이 사이트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더 자세한 세부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회원 가입을 적극 추천합니다.
회원에 가입하신 모든 분들에게는 변해버린 세상의 구체적인 대비책이 공유될 것입니다.
우리들이 이와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어떠한 정치적, 개인적 목적을 위함이 아님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조금만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생각을 가질 수만 있다면 우리들 모두 변해버린 세상을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단, 조금은 서둘러야 하는 시간대임을 반드시 기억하기 바랍니다.